본문 바로가기
정보

📱아이패드 종료, 아직도 헤매시나요? 쉽고 빠른 완벽 가이드!

by 401jsjfjafaaf 2025. 8. 12.

📱아이패드 종료, 아직도 헤매시나요? 쉽고 빠른 완벽 가이드!

 


목차

  1. 아이패드 강제 종료가 필요한 순간들
  2. 가장 기본적인 방법: 물리 버튼으로 종료하기
    • 홈 버튼이 없는 모델 (Face ID 지원 모델)
    • 홈 버튼이 있는 모델
  3. 물리 버튼이 고장났을 때: 설정 앱으로 종료하기
  4. 아이패드 강제 재시동 방법
    • 홈 버튼이 없는 모델
    • 홈 버튼이 있는 모델
  5. 아이패드 종료 시 알아두면 좋은 팁

1. 아이패드 강제 종료가 필요한 순간들

아이패드는 뛰어난 성능과 안정성을 자랑하지만, 때로는 예기치 않은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면이 멈추거나 터치가 먹통이 될 때, 특정 앱이 계속해서 튕길 때, 또는 시스템 전반이 느려지는 경우 등이 그렇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단순히 앱을 닫는 것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으며, 아이패드를 완전히 종료했다가 다시 켜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일 수 있습니다. 특히 물리 버튼을 이용한 강제 종료는 시스템 오류를 초기화하고, 버벅거리는 현상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2. 가장 기본적인 방법: 물리 버튼으로 종료하기

아이패드를 종료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물리 버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아이패드 모델에 따라 방법이 조금씩 다르므로, 본인의 기기에 맞는 방법을 확인하고 따라해 보세요.

홈 버튼이 없는 모델 (Face ID 지원 모델)

최신 아이패드 프로, 아이패드 에어 등 홈 버튼이 없는 모델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종료할 수 있습니다.

  1. 전원 버튼(상단 버튼)과 음량 버튼(위/아래 중 하나)을 동시에 길게 누릅니다.
  2. 화면에 '밀어서 전원 끄기' 슬라이더가 나타날 때까지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습니다.
  3. 슬라이더를 오른쪽으로 밀어 아이패드를 완전히 종료합니다.
  4. 아이패드가 완전히 꺼진 것을 확인한 후, 다시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켜면 됩니다. 이 방법은 아이패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나, 일시적인 오류로 인해 터치가 안 될 때 모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홈 버튼이 있는 모델

구형 아이패드 모델이나 아이패드 미니, 일부 아이패드 기본 모델은 홈 버튼이 있습니다. 이 모델들은 다음과 같이 종료할 수 있습니다.

  1. 전원 버튼(상단 버튼)을 길게 누릅니다.
  2. 화면에 '밀어서 전원 끄기' 슬라이더가 나타날 때까지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습니다.
  3. 슬라이더를 오른쪽으로 밀어 아이패드를 완전히 종료합니다.
  4. 아이패드가 꺼진 것을 확인한 후, 다시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켜면 됩니다. 이 방법은 홈 버튼이 있는 아이패드를 종료하는 가장 간단하고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3. 물리 버튼이 고장났을 때: 설정 앱으로 종료하기

만약 아이패드의 전원 버튼이 고장 났거나, 물리 버튼을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다면 설정 앱을 통해 아이패드를 종료할 수 있습니다.

  1. 아이패드의 '설정' 앱을 엽니다.
  2. 왼쪽 메뉴에서 '일반'을 선택합니다.
  3. 오른쪽 화면을 아래로 스크롤하여 '시스템 종료'를 탭합니다.
  4. 화면에 '밀어서 전원 끄기' 슬라이더가 나타나면 오른쪽으로 밀어 아이패드를 종료합니다.
    이 방법은 물리 버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버튼이 작동하지 않거나 버튼을 누르기 어려운 상황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4. 아이패드 강제 재시동 방법

아이패드가 완전히 멈춰서 종료 슬라이더조차 나타나지 않을 때는 강제 재시동이 필요합니다. 강제 재시동은 시스템 오류를 초기화하고, 아이패드를 다시 정상 상태로 되돌리는 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강제 재시동은 아이패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으므로 안심하고 사용하셔도 됩니다.

홈 버튼이 없는 모델

홈 버튼이 없는 최신 아이패드 모델의 강제 재시동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음량 높이기 버튼을 눌렀다가 빠르게 놓습니다.
  2. 이어서 음량 낮추기 버튼을 눌렀다가 빠르게 놓습니다.
  3. 마지막으로 전원 버튼(상단 버튼)을 길게 누릅니다.
  4. 화면에 Apple 로고가 나타날 때까지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습니다.
  5. Apple 로고가 나타나면 버튼에서 손을 떼고 아이패드가 재시동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이 방법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므로, 순서를 정확하게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홈 버튼이 있는 모델

홈 버튼이 있는 아이패드 모델의 강제 재시동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원 버튼(상단 버튼)홈 버튼을 동시에 길게 누릅니다.
  2. 화면에 Apple 로고가 나타날 때까지 두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습니다.
  3. Apple 로고가 나타나면 버튼에서 손을 떼고 아이패드가 재시동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이 방법은 전원이 완전히 꺼지지 않고, 바로 재시동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5. 아이패드 종료 시 알아두면 좋은 팁

아이패드를 종료하는 것 외에 알아두면 유용한 몇 가지 팁을 알려드립니다.

  • 완전한 종료와 재시동의 중요성: 아이패드가 느려지거나 버벅거릴 때, 앱을 껐다 켜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마치 컴퓨터를 재부팅하는 것처럼 아이패드를 완전히 종료했다가 다시 켜는 것은 시스템 메모리를 정리하고, 쌓여있던 임시 파일을 삭제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주기적으로 아이패드를 종료했다가 켜주는 습관은 기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앱 강제 종료 방법: 아이패드에서 특정 앱이 멈췄을 때, 아이패드 전체를 종료하기 전에 해당 앱만 강제로 종료해볼 수 있습니다. 홈 버튼이 없는 모델은 화면 아래에서 위로 쓸어올려 앱 전환기를 엽니다. 홈 버튼이 있는 모델은 홈 버튼을 두 번 누릅니다. 앱 전환기에서 멈춘 앱을 위로 쓸어올리면 강제로 종료됩니다.
  • 배터리 절약을 위한 종료: 장기간 아이패드를 사용하지 않을 예정이라면,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아이패드를 완전히 종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패드가 꺼져 있는 동안에는 배터리가 거의 소모되지 않으므로, 충전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단, 배터리가 0%가 된 상태로 장기간 방치하면 배터리 수명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어느 정도 충전된 상태에서 종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시스템 업데이트 전후의 재시동: iOS 업데이트를 설치한 후에는 아이패드를 한 번 재시동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시스템에 안정적으로 적용되도록 돕고, 업데이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소한 오류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아이패드를 쉽고 빠르게 종료하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쾌적한 사용 경험을 누리시길 바랍니다.